반응형 귀촌혜택2 귀촌 현실, 한정적 선택에서 폭 넓히기 꿈과 로망이 아닌, 현실에서 마주하는 귀촌 선택 지금까지 우리가 해온 일은 예술가로 활동하면서 지원사업을 통해 작업하고 전시하거나, 직장에 다니면서 생계를 유지했었다. 그리고 많은 작가들이 꿈꾸는 것처럼 우리도 복합문화공간과 카페에 대한 TO DO LIST가 있었다. 2022년 어느 날, 그 꿈이 이루어졌다. 예술촌 촌장님의 권유로 카페 겸 작업실을 임대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즉시 우리는 귀촌에 대해 아래와 같은 3가지를 고민하게 됐다. 지금까지 해온 일과 귀촌의 연결성 찾기 시골에서 할 수 있는 새로운 일 선택하기 최대한 도움 받을 수 있는 지원사업 찾기 초기 비용이 들지 않는 카페를 구상하자 ! 하지만 어떤 카페를 만들어야 산속의 작은 시골동네에서 타산이 맞을까? 카페를 창업하는 초기 비용은 만만치 .. 2024. 1. 22. 귀촌 시작에서 1년 차까지 귀촌의 종류는 왜 한정적인가 ?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귀촌은 말 그대로 농업, 어업, 축산업을 생각한다. 농협, 축협, 수협이 있듯 말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지원사업 역시 시골에서 당연히 먹고살기 위한 생업에 초점을 둔다. 그렇다면 굳이 도시에서 살 필요가 없었던 프리랜서이자 쌍둥이 예술가인 우리는, 시골에서 살 수 없는 것일까? 2022년 8월 전라북도 산골 깊숙히 자리잡은 시골에 살고자 마음 먹었을 때, 모두들 걱정이 태산이였다. 기동력도 없이 어떻게 살 것이냐. 시골인심이 예전하고 다르다. 젊은 여자 둘이서 산 속에 틀어박혀서 뭐 하고 살거냐. 격려보다 걱정이 더 컸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런 걱정과 달리, 우리는 1년 6개월을 버티기보다 즐기면서 잘 살고있다. 농사 짓지 않는, 젊은 귀촌자들을.. 2024. 1. 2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